Cancer cell autophagy, reprogrammed macrophages, and remodeled vasculature in glioblastoma triggers tumor immunity

암세포의 autophagy, reprogram된 macrophage, glioblastoma의 재구성된 혈관계는 tumor immunity를 유발합니다. (Journal: Cancer Cell)

Cancer cell autophagy, reprogrammed macrophages, and remodeled vasculature in glioblastoma triggers tumor immunity

Abstract
Glioblastoma (GBM)는 치료가 어렵고 인간에게 치명적입니다. 난치성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tumor progression과 therapeutic resistance에 필요한 여러 기능을 동시에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해당 질병의 distinctive mechanistic component를 co-target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tumor의 혈관 구조를 변화시키는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경로 억제제를 tricyclic antidepressant인 imipramine (IM)과 결합하여 이 전략을 진행했습니다. 두 약물 모두 단독 요법으로는 효과적이지 않지만 imipramine과 VEGF 경로 억제제를 조합하여 처리하면 CD8 T, CD4 T cell의 infiltration과 activation을 조절하여 여러 가지 GBM mouse model에서 상당한 치료 효과를 보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재발하는 tumor에서 anti-programmed death-ligand 1 (PD-L1)을 사용한 immune checkpoint 차단을 먼저 진행하면 생존 가능성을 더 높여줍니다. 이러한 결과는 tumor microenvironment에서 서로 다른 생물학적 취약점에 대한 mechanism-guided therapeutic co-targeting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Figures

Fig 1. IM + anti-VEGF 조합은 GBM 마우스의 생존을 연장하고 immunostimulatory 특징을 가집니다.
(A) Glioma의 lentiviral-induced mouse model에서 장기간 치료법의 개략도.
(B) 말기 LVRshp53 동물의 종양을 H&E tissue staining 한 이미지.
(C) 각 치료를 받은 종양 보유 LVRshp53 동물의 생존 그래프.
(D) 2주 동안 각 방법대로 치료한 LVRshp53 동물의 정규화된 생물발광 정도.
(E) 각 치료를 받은 PDG 동물의 생존 그래프.
(F) CD8과 DAPI nuclear staining의 이미지.
(G) IM + anti-VEGF-treated 종양과 Ctrl에서 CD8 T 세포의 고배율 이미지.
(H) 12일 동안 각 방법대로 치료한 LVRshp53 종양에서 CD8 T 세포의 정량화.
(I) 12일 동안 각 방법대로 치료한 LVRshp53 종양에서 CD8 T 세포의 유세포 분석 결과. 세포는 CD45+CD3+CD8+로 gating 진행.
(J) 12일 동안 각 방법대로 치료한 LVRshp53 tumor tissue section CD4 T 세포의 대표적인 이미지.
(K) 12일 동안 각 방법대로 치료한 LVRshp53 tumor tissue section CD4 T 세포의 정량화. (L) 생존 가능성에 대한 CD8 T, CD4 T 세포의 기능적 기여 평가.
(M) 각 방법대로 치료한 LVRshp53 마우스에서 정규화된 생물발광 정도.

Cancer cell autophagy, reprogrammed macrophages, and remodeled vasculature in glioblastoma triggers tumor immunity

Fig 2. IM + anti-VEGF 처리 시 CD8 T, CD4 T 세포가 활성화됩니다.
(A) Effector T cell (CD62L-CD44+)의 유세포 분석 결과.
(B) 고정 및 투과성 CD8+T 세포에서 IFNγ 세포 내 염색의 FACS 분석 결과.
(C) CD8 T 세포에서 GzB 세포 내 염색의 유세포 분석 결과.
(D) CD8 T 세포에서 TNFα 세포 내 염색의 유세포 분석 결과.
(E) 표시된 치료를 받은 LVRshp53 동물의 생존을 위한 IFNγ의 기능적 중요성.
(F) CD8 T 세포에서 Ki67의 유세포 분석 결과.
(G) CD8 T 세포에서 pSTAT5의 유세포 분석 결과.
(H) CD8 T 세포에서 TCF1의 유세포 분석 결과.
(I) anti-VEGF로 처리된 종양에서 HIF-1α와 CD8의 대표적인 이미지.
(J) GBM 종양 full section의 전체 영역에서 저산소 영역에 대한 CD8 T 세포의 접근 정도 정량화.
(K) 고정 및 투과성 CD8 T 세포에서 세포 내 HIF-1α 발현의 유세포 분석 결과.
(L) CD4 T 세포에서 세포 내 FOXP3 발현의 유세포 분석 결과.
(M) CD4 T 세포에서 세포 내 TGFβ 발현의 유세포 분석 결과.
(N) CD4 T 세포에서 SLAMF7 발현의 유세포 분석 결과.
(O) CD4 T 세포에서 GzB 발현의 유세포 분석 결과.

Cancer cell autophagy, reprogrammed macrophages, and remodeled vasculature in glioblastoma triggers tumor immunity

Fig 3. anti-VEGF 단독 또는 IM과의 조합은 glioblastoma의 종양 혈관계를 리모델링합니다.
(A) 1주 동안 각 방법대로 치료한 LVRshp53 종양의 systemically perfused lectin, CD31, DAPI의 이미지.
(B) 1주 동안 각 방법대로 치료한 LVRshp53 종양에서 CD31+ 면적의 백분율.
(C) CD31+ 면적의 백분율 중 i.v.-infused lectin과 CD31 co-localization의 비율.
(D) CD31 양성 영역의 백분율로 PDGFRβ 및 CD31 co-localization의 정량화.
(E) CD31 양성 영역의 백분율로 PDGFRβ 및 CD31 co-localization의 이미지.
(F) GBM 종양 section의 전체 영역 중 가장 가까운 CD31+ 혈관 (10-25μm) 이상 10μm 이내에 위치한 CD8+ T 세포의 fraction의 이미지.
(G) GBM 종양 section의 전체 영역 중 가장 가까운 CD31+ 혈관 (10-25μm) 이상 10μm 이내에 위치한 CD8+ T 세포의 fraction의 정량화.
(H) 전체 종양 tissue section의 전체 영역 중 MECA79, CD31, DAPI 및 HEV IF 이미지.
(I) 전체 종양 tissue section의 전체 영역 중 MECA79, CD31, DAPI 및 HEV 정량화.
(J) Endothelial cell marker의 mRNA 발현 양.

Cancer cell autophagy, reprogrammed macrophages, and remodeled vasculature in glioblastoma triggers tumor immunity

Fig 4. Imipramine은 TAM에서 M2-like program을 하향 조절합니다.
(A) IM 또는 anti-VEGF로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단일 종양에서 ARG1, IL-10의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
(B) 각 조건으로 1주 동안 처리된 GBM 종양에서 ARG1, IL-10 발현의 유세포 분석 결과. Macrophage는 CD45+CD11b+Ly6C-Ly6G로 gating 진행.
(C) Untreated tumor에서 FACS에 의해 평가된 microglia (CD49d-)와 MDMs (CD49d+)에서 ARG1와 IL-10의 발현 양.
(D) 유세포 분석에 의해 평가된 microglia 내 MHC-II 발현 양.
(E) 종양 CD11b 세포와 활성화된 splenic CFSE-labeled CD8 또는 CD4 T 세포의 ex vivo co-culture 결과.
(F) Ctrl과 IM-treated M2-like BMDM의 qRT-PCR를 통한 M2-like program in cytokine-polarized macrophage 분석 결과.
(G) FACS에 의해 평가된 BMDM의 M1-like program 분석 결과.
(H) Ctrl 또는 24시간 동안 IM으로 처리된 ex vivo M1-, M2- polarized BMDM에서 18S로 정규화된 Hrh1 mRNA의 발현 양.
(I) FACS-sorted microglia 또는 Ctrl과 IM-treated 종양의 MDM에서 Hrh1의 mRNA 발현 양.
(J) siCtrl 또는 2개의 서로 다른 siHrh1로 transfection 된 M2-polarized macrophage Arg1, Chil3, Il10의 mRNA 발현 양.
(K) siRNA-transfected M2 BMDM의 MRC1, ARG1 발현의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
(L) Untreated 또는 TFP 처리 종양에서 분리된 종양 CD11b 세포와의 co-culture 동안 CD8 T, CD4 T 세포의 증식.
(M) IM, TFP, Ctrl로 처리된 종양에서 분리된 CD11b 세포 내 Hrh1, Arg1, MMP2의 mRNA 발현 양.
(N) 녹색 pHrodo S. aureus bioparticle로 분석된 untreated 또는 IM-treated 종양의 분류된 microglia와 MDM을 포함하는 phagocytosis 분석 결과.

Cancer cell autophagy, reprogrammed macrophages, and remodeled vasculature in glioblastoma triggers tumor immunity

Fig 5. HRH1의 낮은 발현 정도는 생존과 관련이 있으며 antihistamine 치료는 GBM 환자에서 더 좋은 예후를 보입니다.
(A) AffyU133a expression array로 분석된 TCGA GBM 코호트에서 Kaplan-Meier 전체 생존 분석 결과.
(B) AffyU133a expression array로 분석된 TCGA GBM 코호트에서 Kaplan-Meier 무진행 생존 분석 결과.
(C) Antihistamine 치료를 받았는지 여부에 따른 GBM 환자의 전체 생존에 대한 Kaplan-Meier 추정치.

Fig 6. Macrophage-derived CXCR3 ligand는 IM + anti-VEGF의 조합 요법에 의한 치료 효과에에 필요합니다.
(A) 벌크 종양에서의 Cxcl10 및 Cxcl9 발현 양.
(B) IM + anti-VEGF로 처리된 LVRshp53 종양의 CXCL10, F4/80, DAPI의 이미지.
(C) Untreated, anti-VEGF, IM 또는 IM + anti-VEGF로 처리된 종양의 TAM에서 CXCL9 발현에 대한 유세포 분석 결과.
(D) (C)와 같이 평가된 MDM, microglia에서의 CXCL9 발현 양.
(E) IM + anti-VEGF ± aCD49d로 처리된 벌크 종양에서 평가된 Cxcl9, Cxcl10 mRNA 발현 양.
(F) 각 처리를 받은 LVRshp53 동물의 생존에 대한 CXCR3 기능의 기여도 평가.
(G) CXCR3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CD8 T 세포의 이미지.
(H) 각 치료를 받은 종양에서 CD8 T 세포의 유세포 분석 결과.
(I) 종양 유래 CD11b 세포와 CFSE-labeled CD8 T 또는 CD4 T 세포의 ex vivo co-culture.
(J) αCXCR3, IM + anti-VEGF 또는 삼중 조합으로 처리된 종양에서 CD8 T 세포의 IFNγ 분비에 대한 최소 효과.
(K) IM + anti-VEGF 공동 처리된 CD8 T 세포에서 GzB 분비에 대한 αCXCR3의 효과 없음.
(L) IM + anti-VEGF 공동 처리된 CD8 T 세포에서 TNFα 분비에 대한 αCXCR3의 효과 없음.
(M) IM + anti-VEGF 또는 IM+ anti-VEGF + αCXCR3으로 처리된 종양에서 HEV에 대한 IF의 정량화.

Cancer cell autophagy, reprogrammed macrophages, and remodeled vasculature in glioblastoma triggers tumor immunity

Fig 7. PD-L1은 재발성 종양에서 유도되고 이의 차단은 T cell의 기능을 강화하여 GBM 마우스의 생존을 연장합니다.
(A) 각 방법으로 처리된 종양의 생존 세포 구획에서 PD-L1에 대한 FACS 분석 결과.
(B) IM + anti-VEGF 후 재발성 종양에서 PD-L1, CD45, DAPI에 대한 IF 이미지.
(C) 유세포 분석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재발성 GBM 종양의 CD45-, CD45+ 구획을 비교하는 PD-L1 양성 생존 세포의 백분율.
(D) 유세포 분석에 의해 평가된 종양에서 CD45+ 세포의 CD11b-, CD11b+ 구획에서의 PD-L1 발현 양.
(E) FACS에 의해 평가된 PD-L1-positive TAM의 백분율.
(F) TAM에서 PD-L1 발현을 나타내기 위한 IF.
(G) 유세포 분석에 의해 평가된 재발성 종양의 MDM, microglia에서 PD-L1의 발현.
(H) 유세포 분석에 의해 평가된 반응성 및 비반응성 종양을 비교하는 microglia에서의 MHC-II 발현 양.
(I) IM + anti-VEGF 처리하여 미처리, 반응성, 재발성 종양에서 CD8 T 세포의 이미지.
(J) IM + anti-VEGF 처리하여 미처리, 반응성, 재발성 종양에서 CD8 T 세포의 정량화.
(K) IM + anti-VEGF 또는 IM + anti-VEGF + αPD-L1으로 단기간 처리된 종양에서 CD8 T 세포의 abundance에 대한 유세포 분석 결과.
(L) (K)와 같이 처리된 종양의 CD8 T 세포에서 GzB 발현 양.
(M) (K)와 같이 처리된 종양의 CD8 T 세포에서 IFNγ 발현 양.
(N) (K)와 같이 처리된 종양의 CD8 T 세포에서 TNFα 발현 양.
(O) anti-PD-L1의 early incorporation과 late incorporation의 이점 평가.
(P) 전체 연구 결과에 대한 개략도.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