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EasyView

Long-range inhibition synchronizes and updates prefrontal task activity

원격 억제 기능을 통한 전두엽 작업 활동 동기화 및 업데이트

[EzV] Long-range inhibition synchronizes and updates prefrontal task activity

Abstract

중앙 전두엽 피질 내의 활동 패턴의 변화는 설치류, 인간이 아닌 영장류 및 인간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행동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인지 작업 중에 말입니다. 내측 전방 피질의 parvalbumin 발현 억제 뉴런은 규칙 이동 작업 중 새로운 전략을 학습하는 데 중요하지만, 전방 네트워크 역학을 작업 관련 활동 패턴 업데이트로 전환하는 회로 상호 작용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parvalbumin 발현 뉴런, 새로운 뇌량(callosal) 억제 연결 및 작업 표현의 변화를 연결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모든 굳은살 투영을 비특이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쥐가 규칙 이동을 학습하는 것을 막거나 활동 패턴의 진화를 방해하지 않는 반면, parvalbumin을 발현하는 뉴런의 굳은살 투영만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규칙 이동 학습을 손상시킵니다, 학습에 필요한 감마 주파수 활동의 동기화를 해제하고 규칙 이동 학습에 일반적으로 수반되는 전두엽 활동 패턴의 재구성을 억제합니다. 이 해리는 굳은살 parvalbumin 표현 투영이 감마 동기화를 전송하고 이전에 확립된 신경 표현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굳은살 입력의 능력을 gating함으로써 prefrontal circuits의 작동 모드를 유지에서 업데이트로 전환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parvalbumin 발현 뉴런에서 발생하는 굳은살 투영은 정신분열증 및 관련 조건과 관련된 행동 유연성 및 감마 동기화의 결함을 이해하고 수정하기 위한 핵심 회로 궤적을 나타냅니다.

Figure

[Figure 1] Callosal mPFC PV 투영은 우선적으로 피라미드 뉴런을 대상으로 한다
a. PV-cre mice의 mPFC(ipsilateral(ipsi))에 AAV-DIO-ChR2-eYFP를 투여했을 때, contralateral(contra) mPFC의 eYFP+ terminal을 시각화할 수 있었습니다.
b. 실험 디자인을 모식화했습니다.
c. 과분극 또는 탈분극 전류 주입 중 잠재적 수신 뉴런의 전류 클램프 response의 예시입니다.
d. callosal PV 단자의 광유전적 자극 동안, 우리는 피라미드형(Pyr) 뉴런에서는 시냅스 반응을 관찰했지만 고속 스파이킹(FS) 인터뉴론에서는 관찰하지 못했습니다.
e. 40x 목표를 통해 전달된 청색 빛 섬광(5ms, 470nm, 청색 막대로 표시)의 리듬 트레인이 광전자적으로 PV 단자를 자극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f. Gabazine 적용으로 인해 IPSP가 막힌 것을 관찰했습니다.

[Figure 2] Callosal mPFC PV 투영의 광학적 억제는 인지적 유연성을 손상시킨다
a. Rule-shift task의 모식도입니다.
b. AAV-DIO-eNpHR-mCherry(DIO-eNpHR) 표현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contralateral mPFC에서는 ipsilateral mPFC 및 callosal PV teminal에서 expression이 발생합니다.
c,g. 실험 설계도를 나타냅니다. (c) DIO-eYFP 및 DIO-eNpHR mice, (g) Syn-eNpHR mice
d. 단일 mPFC 및 contralateral mPFC에 fibre-optic cannula가 삽관된 경우의 DIO-eNpHR 발현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e,f. mPFC 칼로살 PV 단자의 광유전적 억제는 DIO-eNpHR 마우스에서 규칙 이동 성능을 저하시킴을 보입니다.
h. 단일 mPFC의 Syn–eNpHR expression과 대측성 mPFC에 이식된 fibre-optic cannula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i,j. Syn-tdTomato control의 경우 Syn-eNpHR mice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Figure 3] 칼로살 mPFC PV 투영의 광학적 억제는 interhemispheric gamma 동기화를 방해한다
a. PV-cre Ai14 mice는 양쪽 prefrontal cortices에 bilateral AAV-DIO-Ace2N-4AA-mNeon 주사, ipsilateral aav-DIO-eNpHR-BFP 혹은 control virus를 주입받았습니다.
b. ipsilateral 및 contralateral에서의 DIO-eNpHR, Ace-mNeon 및 tdTomato expression 차이를 보이는 그림입니다.
c. 날짜에 따른 실험 디자인입니다.
d. DIO-mCherry mice의 경우 변화가 없었습니다.
e. DIO-eNpHR mice의 경우 기존과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f. 감마 동기화는 제어에서 며칠 동안 규칙 이동이 올바른 결정을 내린 후보다 규칙 이동 오류 후에 더 높았습니다
g. 감마 동기화는 1일차(조명 없음)에 DIO-eNpHR 마우스에 대한 규칙 이동 오류 후 더 높았지만 2일차 또는 3일차(n = 5 마우스)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h. PV-cre Ai14 mice는 bilateral Ace-mNeon, ipsilateral AAV-Syn-eNpHR-mCherry 혹은 AAV-Syn-mCherry를 주입받았으며, 양쪽 prefrontal cortices에 fibre-optic implant를 받았습니다.
i. ipsilateral 및 contralateral에서의 Syn-eNpHR, Ace-mNeon 및 tdTomato expression 차이를 보이는 그림입니다.
j. Syn-eNpHR을 사용한 실험으로 c와 동일한 실험 디자인을 활용합니다.
k,l. 대조군 및 Syn-eNpHR mice간의 차이는 날짜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m. 대조군에서 며칠 동안 규칙 이동 오류가 발생한 후 감마 동기화가 더 높았습니다.
n. 1일차에는 Syn-eNpHR mice에 대한 규칙 이동 오류 후 감마 동기화가 더 높았습니다(빛 없음). 이것은 2일차에 빛과 함께 사라졌었다가 3일차에 복구되었습니다(빛 없음)

[Figure 4] Callosal PV 투영의 광유전적 억제는 전두엽 활동 패턴을 방해한다
a. 쥐의 ipsilateral mPFC에는 AAV-DIO-eNpHR-mCherry, AAV-Synapsin-eNpHR-mCherry 혹은 AAV-DIO-mCherry (PV-cre mice) or AAV-Syn-mCherry (wild-type mice)를 투여했으며, contralateral mPFC에는 AAV-synapsin-GCaMP7f 및 GRIN 렌즈를 투여했습니다.
b. (좌) ipsilateral mPFC에서의 DIO-eNpHR 및 contralateral mPFC에서의 Syn-GCaMP7f를 보이는 그림입니다. (우) callosal PV+ axonal 섬유에서의 DIO-eNpHR입니다.
c. (좌) ipsilateral mPFC에서의 Syn-eNpHR 및 contralateral mPFC에서의 Syn-GCaMP7f를 보이는 그림입니다. (우) callosal axonal 섬유에서의 Syn-eNpHR입니다.
d,f. 대조군 및 Syn-eNpHR mice의 성능은 날짜에 따라 변하지 않았습니다.
e. 2일차 및 3일차에서 DIO-eNpHR mice의 성능이 변화했습니다.
g. Ca2+ imaging analysis의 요약 및 예시 데이터입니다.
h,j. 대조군 및 Syn-eNpHR mice에서는, 규칙 이동 오류 후 활동 벡터의 유사성과 규칙 이동 올바른 시행 후 활동 벡터의 유사성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았습니다
i. DIO-eNpHR mice에서는, 규칙 이동 오류 후 활동 벡터와 규칙 이동 올바른 시행 후 활동 벡터 간의 유사성은 1일차보다 2일차와 3일차에서 더 높았습니다.
k,m. 대조군 및 Syn-eNpHR mice에서는, 초기 연관 오류 후 활동 벡터의 유사성과 규칙 이동 오류 후 활동 벡터의 유사성은 일이 지나도 변하지 않았습니다.
l. DIO-eNpHR mice에서는, 초기 연관 오류와 규칙 이동 오류에 따른 활동 벡터의 유사성은 1일차보다 2일차와 3일차에서 더 높았습니다.
n. 대조군은 규칙 이동 오류 발생 후 10초 동안 평균 활동이 더 높았으며 규칙 이동 후 10초 동안 올바른 결정을 내린 후 10초 동안에는 더 높았습니다.
o. DIO-eNpHR mice에서는 규칙 이동 오류 후 평균 활동의 증가는 날짜에 따라 다릅니다.
p. Syn-eNpHR mice에서는 규칙 이동 오류 후 평균 활동이 전반적으로 증가합니다.

Disscussion

전두엽 피질 내 활동 패턴의 변화는 행동 적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mPFC를 이전에 학습된 표현과 전략을 유지하는 것에서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신경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PV 뉴런과 장거리 감마 동기화의 관여를 제안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전전면 PV 뉴런의 새로운 굳은살 투영을 특성화하고, 이 특정 시냅스가 특정 대상(즉, MD-프로젝션 피라미드형 뉴런) 및 네트워크 역학(감마 진동)은 새로운 활동 패턴(오류 시험에 따른 인구 활동 벡터)을 형성하고 행동을 안내하는 회로 상호 작용(발색성 통신)을 조절합니다. 이 메커니즘의 세 가지 측면은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첫번째로, 신피질 GABAergic 뉴런이 생리학적으로 의미 있는 시냅스 후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장거리 연결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최근에서야 인식되었으며 이러한 장거리 GABAergic 투영의 행동 기능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mPFC에서 PV+ 뉴런의 칼로살 GABAergic 투영이 이전에 규칙 이동 학습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구 간 감마 동기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반구간 리듬 활동을 동기화하는 장거리 GABAergic 투영의 가정된 역할을 직접 지원하며, PV 내부 뉴런의 흥분 시냅스가 장거리에 걸쳐 감마 진동을 동기화한다고 제안한 해마 조각의 초기 발견과 대조됩니다. 한 가지 한계는 우리가 이러한 증가를 동기화시키는 PV 내부 뉴런의 수를 직접 추론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형광의 대량 측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동기화 측정값은 약 50% 증가하므로 셀의 작은 부분만으로 구동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많은 장거리 GABAergic 투영이 주로 다운스트림 GABAergic 뉴런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굳은살 PV+ 투영은 5층 및 6층 피라미드 뉴런의 많은 부분을 유지합니다. 게다가, 굳은살 PV+ 시냅스는 이전에 국부적인 PV 내부 뉴런 시냅스에서 관찰된 것과 동일한 하위 유형 특이성을 가지고 있어, 굳은살 모양으로 돌출된 피라미드 뉴런보다 타마로 돌출된 것을 우선적으로 억제합니다. 우리가 이전에 MD 시상에 대한 이 mPFC 출력 경로가 행동 유연성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특수성은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두번째로, 이 작업에서 감마 동기화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coherence를 통한 통신’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일관성 메커니즘을 통한 통신은 두 영역이 일관된 방식으로 동기화될 때 향상된 효과적인 연결의 이점을 얻을 수 있음을 제안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활동 패턴이 적절하게 진화하고 모든 굳은살 투영을 명시적으로 금지할 때 학습이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두 반구 사이의 연결은 규칙 이동 학습에 실제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대조적으로 PV+ 굳은살 투영이 선택적으로 억제되어 흥분성 굳은살 통신을 절약하면 마우스는 끈기 있게 되고 이전에 학습된 표현은 부적절하게 유지됩니다. 이 시나리오에서 두 반구 사이의 흥분성 통신은 온전하지만 감마 동기화는 손실됩니다(그림 3g). 우리는 이전에 광학적으로 교란하는 감마 동기화(반구에 걸친 위상 외 자극 사용)가 규칙 이동 학습을 방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행동을 위해서는 지역 간 통신이 필요하지 않지만 감마 동기화가 손실되면 지역 간 통신이 정상적인 학습을 방해하는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발생합니다. 이것은 감마 주기 동안 높은 수준의 억제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흥분성 뉴런 발화에 상응하는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듬 억제는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활동을 재설정합니다. 이 재설정은 반복 연결 패턴 내에 저장된 이전에 설정된 것과 다른 새로운 표현의 출현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대조적으로, 대뇌 피질의 흥분 입력이 PV 주도 억제에 의해 적절하게 동기화되지 않을 때, 그것은 조기에 도착하여 이전에 학습된 표현을 부적절하게 강화하여 정상적인 학습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의 칼로살 억제는 또한 이전에 학습된 연관성을 유지하는 특정 신경 집단(예: mPFC-MD 투영 뉴런)에 대한 칼로살 및 반복 자극의 영향을 균형 있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놀라운 특징은 callosal PV+ 투영을 억제하면 감마 동기화, 신경 표현 및 규칙 이동 성능이 지속적으로 변경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동일한 투영을 자극하면 이러한 행동 장애를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두 뇌 영역 사이의 연결을 일시적으로 방해하는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 가소성을 나타내며, 이는 동기화, 정보 처리 및 행동에 기여하는 능력의 지속적인 결함으로 이어집니다. 특히, 인지적 유연성과 부족한 작업 유발 감마 동기화로 특징지어지는 결과 네트워크 상태는 정신 분열증의 주요 인지 및 회로 내 증상 유형을 포착합니다. 여러 측면에서, 이 해로운 네트워크 가소성은 일시적으로 감마 동기화를 강화(광유전자 자극을 사용하여)하는 것이 돌연변이(Dlx5 및 Dlx6) 마우스의 규칙 이동 학습을 지속적으로 구조할 수 있다는 이전의 발견의 역을 나타냅니다. 우리의 새로운 연구 결과는 감마 동기화의 과도적 변조로 인한 전방 회로 가소성이 양방향이며, 이전에는 정상적인 마우스에서도 발생하며, 이전에는 인식되지 않았던 장거리 GABAergic 투영에 의해 촉발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가소성이 callosal PV+ 투영, callosal로 투영된 PV+ 뉴런 및/또는 추가 회로 요소의 변화에 어떻게 의존하는지 탐구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또한 향후 연구는 여기서 사용되는 것과 다른 행동 패러다임(예: 자동 레버 누름 작업)을 사용하여 굳은살 PV+ 투영(및 잠재적 가소성)의 역할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우리의 결과는 새로운 연결이 이전에 확립된 활동 패턴을 유지하기 위해 굳은살 통신 기능을 게이트함으로써 전두엽 피질이 어떻게 행동 전략을 유지하는 것에서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전환되는지 보여줍니다. 게다가, 이 연결은 새로운 양방향 형태의 네트워크 가소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두엽 PV 뉴런에서 유래한 굳은살 연결은 정신 분열증의 주요 특징인 감마 동기화 및 행동 유연성의 결함을 이해하고 잠재적으로 수정하기 위한 중요한 회로 궤적을 나타냅니다.

REF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