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the intratumoral microbiota on spatial and cellular heterogeneity in cancer

암의 공간 및 세포 이질성에 대한 종양 내 미생물군의 영향 Abstract 종양 관련 미생물군은 인간 암 유형 전반에 걸친 종양 미세 환경의 본질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Intratumoral host-microbiota 연구는 지금까지 벌크…

Continue ReadingEffect of the intratumoral microbiota on spatial and cellular heterogeneity in cancer

Direct activation of a bacterial innate immune system by a viral capsid protein

바이러스 capsid protein에 의한 박테리아 선천 면역계의 직접적인 활성화 과정 박테리아는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오는 지속적인 공격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면역 메커니즘을 진화시켰습니다. 진핵생물의 선천 면역체계가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PAMPs)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Continue ReadingDirect activation of a bacterial innate immune system by a viral capsid protein

Medin co-aggregates with vascular amyloid-β in Alzheimer’s disease

알츠하이머병에서 vascular amyloid-β와 co-aggregate하는 Medin Abstract medin amyloid (MFG-E8 단백질의 fragment, lactadherin으로도 알려져 있음)는 50세 이상의 거의 모든 사람의 혈관 구조에서 발견되며, 현재 알려진 가장 흔한 amyloid이다. 우리는 최근에 medin이…

Continue ReadingMedin co-aggregates with vascular amyloid-β in Alzheimer’s disease

[Cell Metabolism] Vps37a regulates hepatic glucose production by controlling glucagon receptor localization to endosomes

Vps37a는 endosome에 대한 글루카곤 수용체의 localization을 제어하여 간에서의 포도당 생산을 조절합니다 Abstract 포유류가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는 동안 글루카곤 수용체 (Glucagon receptor : Gcgr)는 포도당과 지질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ontinue Reading[Cell Metabolism] Vps37a regulates hepatic glucose production by controlling glucagon receptor localization to endosomes

The neurons that restore walking after paralysis

마비 후 걷는 기능을 복구하는 뉴런에 대해 척수 손상은 요추 척수로 돌출된 뇌와 뇌간 사이의 경로를 방해하여 마비로 이어집니다. 이 논문에서는 neurorehabilitation(뇌신경재활)(EESREHAB) 과정 중에 적용된 요추 척수의 spatiotemporal epidural electrical…

Continue ReadingThe neurons that restore walking after paralysis

Spatially resolved epigenomic profiling of single cells in complex tissues

complex tissue에서 단일 세포의 공간적으로 해결된 epigenomic 프로파일링 Abstract 최근 spatial omics 방법의 개발로 transcriptome 및 공간 해상도가 높은 3D genome organization의 단세포 프로파일링이 가능해졌다. spatial omics 도구의 레퍼토리를 확장하면,…

Continue ReadingSpatially resolved epigenomic profiling of single cells in complex tissues

Nociceptor neurons affect cancer immunosurveillance

통각 수용체 뉴런은 cancer immunosurveilance에 영향을 미칩니다 Abstract Solid tumor는 자율 신경계와 감각 말초 신경계에서 발생하는 신경 섬유의 통제를 받습니다. 통증을 유발하는 감각 뉴런에 의한 종양 신경의 분포가 cancer immunosurveillance에…

Continue ReadingNociceptor neurons affect cancer immunosurveillance

Extracellular fluid viscosity enhances cell migration and cancer dissemination

세포 외액 점도는 cell migration 및 cancer dissemination을 증진시킨다 세포는 강성, 유체 전단 응력, 유압과 같은 물리적 자극에 반응합니다. 세포 외액 점도는 암과 같은 생리적, 병리학적 조건에서 변화하는 주요 물리적…

Continue ReadingExtracellular fluid viscosity enhances cell migration and cancer dissemination

Entorhinal cortex directs learning-related changes in CA1 representations

Entorhinal corte는 CA1 representation의 학습 관련 변화를 지시한다. Abstract 뇌 활동의 학습 관련 변화는 적응 행동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rodents에 의한 보상 사이트 학습은 hippocampus에서 그 위치를…

Continue ReadingEntorhinal cortex directs learning-related changes in CA1 representations

Single-cell genomic variation induced by mutational processes in cancer

암의 돌연변이 과정에 의해 유도된 single-cell genomic variation Abstract 인간 암의 유전적 불안정성을 뒷받침하는 cell-to-cell copy number alteration이 어떻게 유전형과 표현형 변이를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암의 진화를 유도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은…

Continue ReadingSingle-cell genomic variation induced by mutational processes in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