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arian cancer mutational processes drive site-specific immune evasion

난소암 돌연변이 과정은 부위별 면역 회피를 유도한다

[Abs] Ovarian cancer mutational processes drive site-specific immune evasion

Abstract

High-grade serous ovarian cancer(HGSOC)는 뚜렷한 돌연변이 과정, 종양 이질성 및 복강 내 확산 등의 특징을 지니는, 전형적인 게놈 불안정성에 의한 암입니다. 면역요법(Immunotherapy) HGSOC에서 제한적인 효능만을 보였는데, 돌연변이 과정과 종양 초점의 해부학적 부위가 종양 미세 환경의 면역학적 상태를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평가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HGSOC를 가진 42명의 초기 치료 환자로부터 160개 종양 부위의 전체 게놈 염기서열, 단일 세포 RNA 염기서열, 디지털 조직병리학 및 다중 면역 형광에 대한 통합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Homologous recombination-deficient HRD-Dup(BRCA1 mutant-like) HRD-Del(BRCA2 mutant-like) 종류의 종양은 염증 신호 전달 및 진행 중인 면역 편집(immunoediting)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고도로 분화된 기능 장애 CD8+T 세포로 HLA 다양성의 손실과 종양 침투력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에 대조적으로, foldback-inversion-bearing 종양은 면역 억제 TGFβ 신호 전달 및 면역 배제 작용이 증가했으며, 주로 초기/유사줄기 유사한 기억 T세포의 분포를 보였습니다. 표현형 상태의 연관성은 해부학적 부위에 특이적이었으며, 부속 종양과 원위 복막 초점 사이의 구성적, 위상적, 기능적 차이를 강조했습니다.

이들의 발견은 해부학적 부위와 돌연변이 과정을 HGSOC의 진화적 표현형 분화와 면역 저항 메커니즘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지목합니다. 이들의 연구는 미래의 개인화된 면역 치료 접근법과 조기 발견 연구를 개발하고 해석하기 위한 다중 omic 세포 표현형 데이터의 기질을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REF